1000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A,B = map(int,input().split()) print(A+B) python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input()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고, 하나는 sys 모듈을 import한 뒤에 sys.stdin.readline() 함수로 한 줄씩 읽어가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2개 이상이라면, 공백으로 구분되어 출력된다. # 3 4를 입력할 경우 print(input()) 3 4 # 3 4를 입력할 경우 import sys print(sys.stdin.readline()) 3 4 # 사실은 3 4\n 임 둘 다 출력 상에서는 똑같은 3 4 로..
25083번: 새싹 아래 예제와 같이 새싹을 출력하시오. www.acmicpc.net [백준/python] 10172번 - 개 / 새싹 https://www.acmicpc.net/problem/10172 sikaro.tistory.com 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25083번 새싹 문제도 개에서 이어진다. 이번엔 '(따옴표)가 추가되어 있으므로 역시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역슬래시를 전부 찾아서 각각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주면 된다. 자세한 건 위 링크의 10172번 - 개를 참조하자.
7287번: 등록 첫 줄에 자신이 맞은 문제의 수, 둘째 줄에 아이디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print("맞은 개수\n") print("닉네임\n") 필자는 처음 봤을때 무슨 html 어쩌구 불러와서 까지 해야하나 싶은 오만가지 생각이 들었지만 알고 보니 그런 문제가 아니었다. 그냥 백준에 오른쪽 상단에 보면 닉네임 | 설정 | 로그아웃 이렇게 생긴 창 중에 닉네임을 클릭해 들어가면 자신이 맞힌 문제 개수가 나온다. 그걸 위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해주면 끝.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10699번: 오늘 날짜 서울의 오늘 날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import time print(time.strftime('%Y-%m-%d', time.localtime(time.time()))) python에는 모듈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 모듈이라는 개념은 뭐냐면, 한마디로 공구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내가 뚝딱뚝딱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을때, 딱 맞는 공구세트가 없으면 작업을 할 수 없다. 펜치가 필요한 곳에는 펜치를 써야 하고, 니퍼가 필요한 곳에는 니퍼를 써야 하는데 그렇기에 상황에 맞는 걸 어디서 구해와야 한다. 그때 사용하는 것이 import라는 함수이다. 위와 같이 import 모듈명 이라 명명하는 것으로 내가 필요한 공구세트를 불러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