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https://velog.io/@cjkangme/%EC%A0%9C-4%ED%9A%8C-K-%EB%94%94%EC%A7%80%ED%84%B8%ED%8A%B8%EB%A0%88%EC%9D%B4%EB%8B%9D-%ED%95%B4%EC%BB%A4%ED%86%A4-%ED%9B%84%EA%B8%B0
1. Where (어디에 팔아야 하는가?)
- 타겟 시장: 고령자가 기술에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나 환경을 고려해 보세요.
- 노인 복지센터: 지역 사회의 복지관이나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협력.
- 원격 의료 플랫폼: 이미 고령자들이 사용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와 통합.
- 요양 시설: 요양원, 병원, 혹은 클리닉 같은 고령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에 제공.
- 가족 및 보호자 네트워크: 고령자를 돌보는 가족이나 보호자 커뮤니티와 협력해 서비스 홍보.
요양 시설 - 요양원에서 대화용도?
병원 - 심리 병원?
어떠한 루트? - KT와 같은 ICT 시스템과 계약? 솔루션 판매?
루트가 구체적이면 구체적일수록 좋다.
2. When (언제 서비스를 사용하는가?)
- 고령자가 정신 건강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시점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은퇴 후: 외로움이나 인생의 전환기에 도움을 받을 때.
- 질병 진단 후: 만성 질환의 정신적 영향을 관리할 때.
- 가족 상실 후: 정서적 스트레스가 클 때.
- 일상 상담: 장기적인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예방 차원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위기 대응만이 아니라, 정서적 건강 관리를 위한 서비스로 포지셔닝할 수도 있습니다.
3. Why (왜 우리 솔루션을 선택해야 하는가?)
- AI 맞춤형 서비스: AI 에이전트가 사용자 개개인의 감정 상태와 필요에 맞춰 개인화된 상담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하세요.
- 단계적 상담 제공: 사용자가 쉽게 따라갈 수 있는 체계적인 단계별 상담 방식이 강점입니다.
- 접근성: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기반 상호작용, 큰 글씨,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
- 비용 효율성: 인간 상담사와 비교했을 때 비용이 저렴하고 접근성이 높다는 점을 부각하세요.
- 프라이버시 보호: 많은 고령자들이 인간 상담사와의 대화에 부담을 느낄 수 있는데, AI는 비판 없이 사적인 상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How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 기술 스택:
- AI 모델: 심리 상담 대화를 학습한 GPT류 모델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공감과 경청을 제공하는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음성 인식: Whisper 같은 음성 인식 모델을 활용해 사용자와의 대화를 텍스트로 변환.
- 사용자 인터페이스: 음성 명령 기능이 있는 간단한 모바일 앱, 혹은 SMS 기반의 서비스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실시간 반응: 시스템이 감정과 관련된 키워드나 패턴을 분석해 대화의 톤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백엔드:
-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 확장성을 보장하고,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데 중점을 둬야 합니다. (정신 건강 정보는 매우 민감하므로 보안이 중요합니다.)
- 전문 심리 상담사와 협업해 AI의 답변을 조정하거나, 인간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히 연계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결정들은 다음 심사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창의성: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상담 제공 방식을 강조.
- 구현 가능성: 서비스가 어떻게 단계적으로 구현될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
- 파급 효과: 고령자들의 정신적,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중심으로 설명.
- 참여도: 보호자나 가족도 이 서비스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
구체적인 ppt 솔루션
1. 도입 (Why: 문제 정의)
- 제목: "AI 기반 단계별 심리 상담 시스템"
- 내용: 고령자들이 겪는 정신 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전달합니다. 데이터를 통해 고령자의 고립감, 우울증 등의 문제와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보여주며, 심리 상담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 예시: "대한민국에서 65세 이상 고령자의 20% 이상이 정신 건강 문제를 겪고 있지만, 상담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왜 받지 못하는가?
- 목표: 심사위원들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시키고, 해결해야 할 이유를 분명히 설명합니다.
2. 고객 페르소나 및 페인포인트 (Who: 타겟 정의)
- 고령자의 어려움: 심리 상담의 어려움 (비용, 접근성, 시간), 디지털 격차로 인한 고립감 증가.
- 사용자 페르소나: 70대 독거 노인, 은퇴 후 정신적 고립을 느끼는 개인 등 구체적인 사례로 소개.
- 페인 포인트: 심리 상담 서비스의 높은 비용, 상담의 부재, 타인과의 대화 불편함을 강조.
→ 이 부분에서는 심사위원들이 실제로 서비스의 필요성을 느끼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3. 우리 솔루션 (What: 서비스 설명)
- 서비스 개요: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단계별 심리 상담 시스템.
- 특징:
- 단계적 상담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에 맞춰 상담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상담 기록을 바탕으로 적응형 상담 제공.
-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 고령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명령 및 대화로 이루어짐.
- 개인화된 상담: AI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맞춰 답변을 조정.
→ 이 부분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분명하게 전달하고, AI의 장점을 강조합니다.
4. 시장 분석 (Where: 어디에 팔아야 하는가?)
- 타겟 시장:
- 노인 복지 시설, 원격 의료 서비스, 가족 및 보호자.
- 각 시장에서의 진출 가능성과 효과를 간단하게 시각화합니다.
- 시장 기회: 고령화 사회로 인해 급증하는 노령 인구와 정신 건강 서비스의 수요 증가 데이터를 통해 설득합니다.
5. 경쟁 분석 (Why: 차별점 및 경쟁 우위)
- 경쟁 서비스와의 차별점: 기존의 상담 서비스는 사람 대 사람 상담에 의존해 비용이 높고 접근성이 낮다는 점을 비교합니다. 반면, 우리 솔루션은 AI 기반으로 저비용, 상시 접근 가능한 장점을 강조합니다.
- 차별화 포인트:
- AI를 통한 24시간 접근 가능성.
- 고령자 친화적 설계 (음성 인식, 간단한 UI).
- 심리학적 기반의 단계적 접근 방식.
6. 구현 계획 (How: 기술적 구현 방안)
- 기술 스택: AI 모델 (Whisper, GPT 등)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 개발 단계:
- 1단계: 프로토타입 개발 (핵심 기능 구현).
- 2단계: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기능 개선 및 확장.
- 3단계: 상용화 및 파트너십 확장 (의료 기관, 복지 센터와 협업).
- 기대 효과: 고령자들의 정신 건강 개선 및 사회적 비용 절감.
7. 비즈니스 모델 (How: 수익화 방안)
- 수익 모델:
- B2B: 요양 시설 및 복지 센터에 서비스 제공.
- B2C: 개인 사용자에게 구독형 서비스 제공.
- 장기적 확장 가능성: 보호자나 의료 전문가들과의 연계 서비스 가능성.
8. 기대 효과 (Impact: 기대 효과 및 사회적 파급력)
- 정서적 안정 효과: 고령자의 정신 건강 개선이 어떻게 삶의 질을 높일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명.
- 사회적 파급력: 고령자 돌봄 비용 절감, 가족의 심리적 부담 경감 등 사회 전반에 미칠 긍정적 영향.
9. 팀 소개 (Who: 팀의 강점)
- 각 팀원의 강점과 역할을 간단히 소개하며, 팀이 이 문제를 해결할 역량이 충분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특히, AI 기술 전문가, UX/UI 디자이너, 정신 건강 전문가 등의 역량을 어필.
10. 결론 및 다음 단계 (Next Steps)
- 결론: "우리 서비스는 단순한 상담 솔루션을 넘어, 고령자에게 감정적 안정과 새로운 소통 방법을 제공합니다."
- 다음 단계: 투자 유치, 파일럿 테스트, 협력 파트너 발굴 등을 제시하며 해커톤 후의 계획을 간략하게 설명.
총 10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