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시카로의 공부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시카로의 공부방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40)
    • 프로젝트 (20)
      • kaggle & Dacon (43)
      • 에이블스쿨 (21)
    • 프로그래밍 공부 (5)
      •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15)
      • 자료구조 (3)
      • 알고리즘 (10)
      • 데이터베이스 & SQL (18)
      • SpringBoot (9)
      • 에이블스쿨 (86)
      • 버그일지(QA) (7)
    • 데이터 사이언스 & 로봇 (125)
      • 강화학습(RL) (4)
      • ML 및 DL 관련 이론 (53)
      • 데이터 분석 (24)
      • ROS (44)
    • 코딩테스트 (70)
      • python (4)
      • C++ (1)
      • 백준 (59)
      • 프로그래머스 (3)
      • softeer (0)
    • 서비스 기획 (1)
    • 인생일지 (5)
  • 방명록

프로그래밍 공부 (153)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다. 해당 알고리즘을 실행시켰을 때, 연산 횟수에 대한 worst case적인 한계를 의미한다. 시간 복잡도는 낮으면 낮을 수록 좋다. 빅 O 표기법을 통해 알 수 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대략적으로 1초 연산이 최대 1억번의 연산 횟수를 가진다는 걸 머릿속에 넣어 놓으면 좋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건이 1초, 1만개가 들어가는 테스트 케이스 범위가 주어졌을 때, O(n^2)은 쓰지 못한다는 걸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시간을 측정하려면 절대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그런 방법은 코딩 테스트에서는 잘 활용되지 않는다. 빅오 표기법 1차원 배열에서 가장 값을 늦게 찾는 경우는 리스트의 끝까지 검색했을 때 혹은 값을 못찾았을 때. 즉, O(n)이다. ..

프로그래밍 공부/알고리즘 2024. 2. 11. 17:02
[운영체제] 프로세스 개요(PCB, 문맥 교환, 코드, 데이터, 힙, 스택 영역)

https://www.youtube.com/watch?v=Jjfah3t_xWk&list=PLVsNizTWUw7FCS83JhC1vflK8OcLRG0Hl&index=28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로 가져오는 것을 '프로세스를 생성한다'라고 한다.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확인 가능 #ps -ef 프로세스의 종류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없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묵묵히 실행되는 프로세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묵묵히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데몬(daemon), 서비스(service) 라고도 부른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 이러한 프로세스를 어떤 식으로 관리하는가?..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024. 2. 9. 15:22
[운영체제] 운영체제의 큰 그림(커널, 서비스 종류, 시스템 콜)

https://www.youtube'.com/watch?v=R4j_hDQuBOc&list=PLVsNizTWUw7FCS83JhC1vflK8OcLRG0Hl&index=26 꼭 알아야 하는 것들 커널이란 무엇인가? 운영체제의 서비스 종류(만들고 실행하는 프로그램한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 주느냐) 시스템 콜(시스템 호출)과 이중 모드란 무엇이냐? 운영체제의 심장, 커널 운영체제는 현존하는 프로그램 중 규모가 가장 큰 프로그램 중 하나다 리눅스 = 15만줄 다양한 운영체제가 있다. 규모 자체도 크고, 종류도 다양하다. 그렇기에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기능은 다양하다. 하지만, 가장 공통적이고,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는 존재한다.(스마트폰이라면 전화 기능, 문자 기능 등) 핵심적인 서비스는 자원에 접근하고 조작하는 기능..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024. 2. 8. 18:39
[운영체제] 운영체제(OS)를 알아야 하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1PEe33_INZc&list=PLVsNizTWUw7FCS83JhC1vflK8OcLRG0Hl&index=25 운영체제가 뭘까? 컴퓨터 부품들은 전기만 공급하면 마법처럼 알아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 컴퓨터부품들을 동작시켜주는 가장 근원적인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다. 운영체제란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을 위해 자원을 필요로 한다. 자원/시스템 자원 :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서 마땅히 필요한 요소들(애매모호)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마땅히 필요한 요소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포함 운영체제는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 운영체제 또한 프로그램이기에 메모리에 적재되서 실행되고, 너무 중요하기 때..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024. 2. 6. 21:50
[컴퓨터구조] 마지막 장 -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입출력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1Pp6PJ1kSqI&list=PLVsNizTWUw7FCS83JhC1vflK8OcLRG0Hl&index=22 초심으로 돌아가서 다시 정리하는 개념입니다. 이미 알고 있어 스킵하는 부분도 있으니, 직접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입출력장치의 정보 주고 받기 입출력장치들은 어떻게 컴퓨터 내와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받는가? 보조기억장치도 이 방식과 똑같다. 입출력장치는 앞서 학습한 CPU, 메모리보다 다루기 까다롭다. 1.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나도 많다. 장치가 다양하면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 어렵다. 2.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 *전송률이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교환할 수 ..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024. 2. 6. 21:29
[컴퓨터구조] RAID의 정의와 종류

https://www.youtube.com/watch?v=m2NfFJEvssY&list=PLVsNizTWUw7FCS83JhC1vflK8OcLRG0Hl&index=21 초심으로 돌아가서 다시 정리하는 개념입니다. 이미 알고 있어 스킵하는 부분도 있으니, 직접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들어가는 질문 1TB 하드 디스크 4개 (RAID) 구성 vs 4TB 하드 디스크 한 개 결론적으로 RAID가 이긴다. RAID? 하드 디스크와 SSD로 사용하는 기술 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물리적 보조 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 RAID 레벨 RAID를 구성하는 기술 RAID 0, 1, 4, 5, 6이 자주 사용된다. RAID 0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서 저장하는..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024. 2. 6. 20:4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