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시카로의 공부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시카로의 공부방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40)
    • 프로젝트 (20)
      • kaggle & Dacon (43)
      • 에이블스쿨 (21)
    • 프로그래밍 공부 (5)
      •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15)
      • 자료구조 (3)
      • 알고리즘 (10)
      • 데이터베이스 & SQL (18)
      • SpringBoot (9)
      • 에이블스쿨 (86)
      • 버그일지(QA) (7)
    • 데이터 사이언스 & 로봇 (125)
      • 강화학습(RL) (4)
      • ML 및 DL 관련 이론 (53)
      • 데이터 분석 (24)
      • ROS (44)
    • 코딩테스트 (70)
      • python (4)
      • C++ (1)
      • 백준 (59)
      • 프로그래머스 (3)
      • softeer (0)
    • 서비스 기획 (1)
    • 인생일지 (5)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440)
[에이블스쿨] 미니프로젝트 2차(2) -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예측

주제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예측(시계열 데이터) 장애인 콜택시 관련 데이터와 날씨 데이터가 주어진다. 문제 정의 전 날 콜택시 운행이 종료되었을 때, 다음 날 대기시간을 예측 하루 후 미래의 날씨 데이터 예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하루 후의 실제 대기시간을 예측 목표 데이터 전처리 과정 실습 탐색적 데이터 분석 실습 머신러닝 모델링 과정 실습 모델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피처 엔지니어링/튜닝 실습 프로젝트 내 역할 pycaret을 이용한 Best model 도출 피처 엔지니어링으로 주말 여부에 대한 상관계수 도출 토론 후에 팀원이 주말 여부에 대해서 주말 하루 전이라는 추가적인 피처 생성 모델 튜닝 기본적인 모델링 및 시계열 데이터에서의 Data leakage에 대해 팀원들에게 설명 1. 데이..

프로젝트/에이블스쿨 2024. 3. 21. 12:00
[에이블스쿨] 미니프로젝트 2차(1) - 미세먼지 농도 예측 머신러닝 모델링

주제 미세먼지 농도 예측 머신러닝 모델링 목표 탐색적 데이터 분석 복습 데이터 전처리 과정 복습 머신러닝 모델링 과정 복습 머신러닝 모델 평가 프로젝트 내 역할 개인 프로젝트 다만, ppt에서는 피처 요약표와 모델링 지표 등을 담당 1. 데이터 분석 1.1 구성 air_2022, air_2023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SO2, CO, O3, NO2, PM25, PM10) 정보 weather_2022, weather_2023 날씨 정보(기온, 강수량, 풍속, 풍향, 습도, 시정 등) 1.2 분석 가장 먼저 피처 요약표 분석 명목형에서 고유값이 1인 것들은 타겟 예측력이 없으므로 제거할 생각을 하고 들어간다. 연속형이어도 결측값 개수가 5000개보다 많고, 의미 없는 변수(QC값)이라 생각되면 drop해주었다..

프로젝트/에이블스쿨 2024. 3. 18. 16:45
[버그일지] 캐글 pycaret 버그 실험

kaggle에는 /kaggle/working/에 모듈을 저장해서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이 있다.이 기능을 사용하면 하나의 노트북에서는 각 세션마다 모듈을 pip install로 받지 않아도 계속해서 지속된다. 필자는 pycaret으로 진행하였는데, classification 모듈을 import할 때 오류가 나는 부분이 발생했다.cannot import name 'is_datetime64tz_dtype' from 'pandas.core.tools.datetimes' (/kaggle/working/pandas/core/tools/datetimes.py)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몰라, 조건을 바꿔가면서 실험했다. 1. pycaret을 다운받을 때 사용하는 각 모듈의 문제인가? -> 아니였다. 세션을 종료하고 다시..

프로그래밍 공부/버그일지(QA) 2024. 3. 17. 13:49
[에이블스쿨] 17일차 - 앙상블(보팅, 배깅, 부스팅, 스태킹), 클래스 불균형

dtype의 defalut 값이 bool로 바뀌면서, 원핫 인코딩을 할 때 int로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True, false로 나오기 때문이다. 앙상블 여러 개의 약한 모델이 올바르게 결합하면 훨씬 더 정확하고 견고한 모델이 된다. 보팅 배깅 부스팅 스태킹 보팅 여러 모델들을 만들고, 예측 결과를 투표를 통해 최종 예측 결과를 결정한다. 하드 보팅 : 다수 모델이 예측한 값이 최종 결과 값이다. 만약 1,2,1,1이 있다면, 1로 예측. 소프트 보팅 : 모든 모델이 예측한 레이블 값의 결정 확률 평균을 구한 후, 가장 확률이 높은 값을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확률을 따진다. 1일 확률이 0.7,2일 확률이 0.3,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이걸 확률 평균 1일 확률이 배깅 bootstrap Aggre..

프로그래밍 공부/에이블스쿨 2024. 3. 15. 16:46
[에이블스쿨] 15,16일차 - 모델 리뷰 및 k-fold cv,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과대적합이 발생하는 가능성 -> 모델이 너무 복잡하다. 선형회귀의 경우 독립변수가 많을 때 복잡해진다. 모든 변수의 가중치를 다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항상 모델을 만들고 나면 회귀 계수를 살펴보자. print(list(x_train)) print(model.coef_) print(model.intercept_) 편향과 회귀 개수 릿지, 랏소, 엘라스틱 넷 가중치를 할당하지 않거나, 가중치를 줄여주는 모델. knn은 언제 모델이 복잡해지나? k가 작을수록 복잡해진다. k가 크다면 단순한 모델이 된다. 피타고라스 거리, 맨해튼 거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0~1사이로 바꾸는 정규화를 해야 한다. 평가용 데이터에도 학습용 데이터를 기준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sklearn이 제공하는 함수를 ..

프로그래밍 공부/에이블스쿨 2024. 3. 14. 16:57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최장 증가 부분 수열

LIS 문제는 주어진 수열에서 증가하는 부분 수열 중 가장 긴 것의 길이를 찾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수열 [10, 20, 30, 5, 15, 25, 35, 40]이 주어졌을 때,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은 [10, 20, 30, 35, 40]이며 길이는 5입니다. 상어의 크기를 수열로 보면, 연속적으로 먹히는 관계를 가진 상어들의 최대 마리 수는 그 수열에서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의 길이와 같습니다. 다만, 주어진 문제에서는 순서가 중요하므로 단순히 LIS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LIS 문제와 관련된 유명한 다른 문제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가장 긴 공통 부분 수열(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 문제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의 합(Maximum Sum ..

프로그래밍 공부/알고리즘 2024. 3. 12. 14:48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74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